728x90
반응형
전세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전세권 설정입니다.
하지만 막상 하려니 등기소, 법무사, 인터넷등기소…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지 헷갈리시죠?
이 글에서는 전세권 신청 방법부터 서류 준비 요령, 계약서 양식 다운로드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처음 전세권 설정을 접하는 분도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풀어썼습니다.
전세권 신청방법 (오프라인, 온라인, 법무사)
오프라인 신청 – 등기소 방문 접수
진행 순서
- 임대인과 임차인이 계약서를 작성
- 필요한 서류 챙기기 (아래 참고)
- 부동산이 있는 지역 관할 등기소 방문
- 민원실에 비치된 신청서 작성
- 수수료 납부 후 접수
- 며칠 후 전세권 등기 완료
장점
- 등기소 직원이 도와주기 때문에 실수할 확률 낮음
단점 - 평일에 직접 가야 함 (시간과 교통비 부담)
온라인 신청 – 인터넷등기소 사용
진행 순서
- 인터넷등기소 접속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 신청서 작성 → 서류 스캔본 업로드
- 수수료 결제 → 접수
- 필요 시 원본서류 우편 또는 직접 제출
장점
- 집에서 신청 가능
단점 - PC 환경 설정(보안프로그램 등) 불편
- 스캔·PDF 등 전자문서에 익숙해야 함
법무사 이용
진행 순서
- 법무사 사무실 방문
- 계약서 및 신분증만 넘기면 나머지 서류 준비부터 접수까지 전부 대행
- 등기 완료 후 완료 통지서 수령
장점
- 귀찮은 거 싫은 분께 추천
단점 - 수수료 발생 (보통 15만~30만 원)
전세금 1억 원일 때 예상 비용 비교
방식수수료기타 비용총 예상 비용
셀프 (오프라인) | 0원 | 등기세+교육세 약 2만~3만 원 | 약 3만 원 |
셀프 (온라인) | 0원 | 등기세+교육세+스캔비 등 | 약 3만~4만 원 |
법무사 대행 | 15만~30만 원 | 등기세+교육세 | 약 18만~33만 원 |
필요서류 – 임대인과 임차인이 각각 준비할 것들
📌 임대인에게 요청할 서류 (※ 꼭 필요)
- 등기권리증 또는 등기필정보
→ 집의 진짜 주인임을 증명하는 서류 - 인감증명서 (최근 3개월 이내)
- 인감도장으로 찍은 위임장
- 신분증 사본
※ 임대인이 이 서류 중 하나라도 거부하면 전세권 등기 불가능합니다.
📌 임차인이 직접 준비할 서류
- 전세권 설정 계약서 (일반 계약서랑 다름! 아래에서 설명)
- 신분증
- 등기사항증명서(등기부등본)
- 등기신청서 (등기소나 인터넷등기소에서 작성 가능)
- 등록면허세 + 교육세 납부금 (1억 기준 약 2~3만 원)
서류 준비 시 주의사항 (헷갈리는 부분 쉽게 정리)
전세권 설정 계약서 vs 부동산 계약서
- 보통의 계약서는 전입신고·확정일자용
- 전세권 등기하려면 별도의 ‘전세권 설정 계약서’가 필요
- 내용은 비슷하지만, 등기용은 법적 형식과 도장이 더 중요
- 인감도장 날인 필수!
등기권리증 vs 등기부등본
구분등기권리증등기부등본
역할 | 등기소에 ‘진짜 주인’임을 증명 | 소유자와 권리 관계 열람용 |
누구만 발급? | 집주인만 보관 | 누구나 발급 가능 |
전세권 설정에 사용 가능? | ✅ 예 | ❌ 불가 |
등기부등본만으로는 절대 등기 못 합니다!
전세권 설정 계약서 양식 다운로드 사이트
다음 사이트에서 무료로 양식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 법률서식닷컴
→ https://xn--iw2br2dn5el3b.com
🔗 노동OK
🔗 예스폼
※ 작성할 때는 반드시 주소·전세금·기간·양 당사자 이름과 인감도장이 정확히 기재돼야 등기소에서 접수됩니다.
항목체크 포인트
신청 방법 | 오프라인, 온라인, 법무사 대행 가능 |
비용 | 셀프 시 약 3만 원, 법무사 이용 시 20만 원 내외 |
임대인 서류 | 등기권리증, 인감증명서, 위임장, 신분증 사본 필수 |
임차인 서류 | 설정 계약서, 신분증, 등기부등본, 수수료 등 |
가장 주의할 점 | 일반 계약서와 등기용 계약서 헷갈리지 말 것 |
728x90
반응형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권 설정 계약서 작성법|꼭 넣어야 할 조항과 특약 예시까지 (0) | 2025.05.10 |
---|---|
공공임대주택 종류별 차이점 한눈에 보기|영구임대부터 행복주택까지 (0) | 2025.05.09 |
계약갱신요구권 제대로 알기! 세입자가 꼭 알아야 할 갱신 기준과 방법 (1) | 2025.05.07 |
주택임대차보호법 총정리! 세입자가 꼭 알아야 할 4가지 핵심 권리 (0) | 2025.05.07 |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법, 얼마나 내야 할까? (2025년 최신 기준) (1)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