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집을 구하거나 팔 때, 반드시 발생하는 비용이 있습니다.
바로 부동산 중개수수료입니다.
"계약서에 도장 찍을 때 얼마 줘야 하지?"
"내가 너무 많이 준 건 아닐까?"
이런 고민,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법을 아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2025년 기준 수수료율, 적용 사례, 감액 협의까지 전부 다뤄드립니다.
🏠 중개수수료란?
부동산 중개업소(공인중개사)가 매매나 임대차 계약을 성사시켰을 때,
그 대가로 지급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법으로 정해진 상한 요율이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협의가 가능합니다.
💰 중개수수료 계산 방식
기본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사편집
거래금액 × 요율 = 최대 중개보수 (부가세 별도)
- 매매/전세는 거래금액 전체 기준
- 월세는 환산보증금 기준
환산보증금 = 보증금 + (월세 × 100)
📊 2025년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표 (주택 기준)
거래 유형거래 금액요율 상한 (최대)비고
매매 | 5천만 원 미만 | 0.5% | 최대 25만 원 |
5천만~2억 미만 | 0.4% | 최대 80만 원 | |
2억~6억 미만 | 0.5% | 협의 가능 | |
6억~9억 미만 | 0.4% | 협의 가능 | |
9억 초과 | 0.9% | 협의 가능 | |
전세/월세 | 5천만 원 미만 | 0.5% | 최대 20만 원 |
5천만~1억 미만 | 0.4% | 최대 30만 원 | |
1억~3억 미만 | 0.3% | 협의 가능 | |
3억~6억 미만 | 0.4% | 협의 가능 | |
6억 초과 | 0.8% | 협의 가능 |
📌 월세 계약 시에는 ‘환산보증금’을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 중개수수료 계산 예시
① 매매 – 3억 원 아파트 매수
- 요율: 최대 0.5%
- 계산: 3억 × 0.5% = 150만 원 (최대 한도)
- → 실무에선 100만~120만 원 선에서 협의되는 경우 많음
② 전세 – 2억 원 보증금
- 요율: 최대 0.3%
- 계산: 2억 × 0.3% = 60만 원
③ 월세 – 보증금 1,000만 원 / 월세 60만 원
- 환산보증금: 1,000만 + (60만 × 100) = 7,000만 원
- 요율: 최대 0.4%
- 계산: 7,000만 × 0.4% = 28만 원
💬 중개수수료는 반드시 ‘협의’ 가능합니다
법은 최대 한도만 정해놓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수수료는 중개사와의 사전 협의로 조정 가능합니다.
✔️ 미리 협의하지 않으면 최대치로 청구될 수 있음
✔️ 가격대가 높을수록 협의 폭도 커짐
✔️ 다가구·상가 등은 주택과 요율 체계가 다르므로 따로 확인 필요
📝 부동산 계약 시 체크포인트
- 계약 전 수수료 기준 명확히 안내받기
- 중개보수는 계약서 작성 후 지급
- 영수증 또는 현금영수증 요청 필수
- 세금계산서 발행 시 부가세 10% 별도
마무리하며
중개수수료는 무조건 내야 하는 게 아닙니다.
법적 상한선 안에서 충분히 협의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계약서에 서명하기 전, 꼭 중개사와 정확한 금액과 기준을 합의하세요.
이 한마디가 수십만 원의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갱신요구권 제대로 알기! 세입자가 꼭 알아야 할 갱신 기준과 방법 (1) | 2025.05.07 |
---|---|
주택임대차보호법 총정리! 세입자가 꼭 알아야 할 4가지 핵심 권리 (0) | 2025.05.07 |
2025 임대차거래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5.03 |
다가구 주택 위반건축물, 월세 계약해도 될까? (0) | 2025.05.03 |
전세대출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꿀팁정리 (feat.은행별 심사 스타일) (1)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