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2

근저당 설정된 집에 전세 들어가도 될까? 근저당 설정된 집에 전세 들어가도 될까?전세 계약을 앞두고 등기부등본을 열어본 순간,'근저당권 설정: ○○은행'이라는 문구를 발견했다면…왠지 모르게 불안해지는 마음, 누구나 겪어보셨을 겁니다.“이 집… 들어가도 괜찮은 걸까?”“근저당 설정된 전세계약, 정말 안전한 걸까?”오늘은 이 질문에 대해등기 실무 경험과 전세사기 예방 관점에서꼼꼼하고 쉽게 설명드릴게요.근저당권이란? 꼭 나쁜 건 아닙니다근저당은 쉽게 말해 집주인이 은행 등에서 돈을 빌릴 때 설정하는 담보입니다.부동산을 담보로 맡기고, 일정 한도(채권최고액)까지 돈을 빌릴 수 있는 구조죠.📌 중요한 건 이 근저당이 아직 유효한지, 그리고 보증금보다 먼저 설정됐는지 여부입니다.근저당 자체는 나쁜 것이 아니라,전세보증금보다 ‘우선순위’가 빠르면 위험할 .. 2025. 5. 14.
전세권 설정 시 등기필증 없이 진행하는 방법 전세 보증금을 더 확실하게 지키기 위해 많은 임차인분들이 전세권 설정을 고민하시죠.그런데 전세권 설정 등기를 하려는 순간, 임대인이 등기권리증(등기필증)을 분실했거나 꺼려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전세권 설정 시 꼭 등기필증이 있어야 할까요?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오늘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드리겠습니다.전세권 설정 시 등기필증 없이도 가능한 방법과 절차, 필요한 서류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등기필증 없이도 전세권 설정 가능할까?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가능합니다.등기필증은 소유권자(임대인)가 가지고 있는 문서로, 부동산에 대한 권리를 이전하거나 설정할 때 본인임을 증명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하지만 분실했다면, 본인 확인 절차와 확인서면을 통해 등기필증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등기필증 없이 전세.. 2025. 5. 13.
등기권리증 분실? 재발급은 안돼요! 대신 이렇게 하세요. 등기권리증 분실시 재발급, 정말 가능한가요?부동산을 거래하거나 전세권 설정, 근저당 설정 등 각종 등기 업무를 하려다 보면 **등기권리증(소유권 이전등기 완료 후 받은 서류)**이 꼭 필요하다는 말을 듣게 됩니다.그런데 어느 날, 서랍을 아무리 뒤져봐도 등기권리증이 보이지 않는다면? 정말 난감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등기권리증 분실 시 재발급이 가능한지, 그리고 대체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꼼꼼히 알려드릴게요.등기권리증이란?등기권리증은 부동산 소유권을 취득한 사람이 등기 완료 후 등기소로부터 발급받는 문서입니다. 흔히 등기필증이라고도 부르며, 해당 부동산의 소유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서류죠.하지만 이 서류는 단 한 번만 발급되기 때문에, 분실해도 재발급은.. 2025. 5. 13.
확정일자와 전세권, 뭐가 더 안전할까요? 확정일자와 전세권, 뭐가 더 안전할까요?전세 계약을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는 바로“확정일자만 받아두면 돼요.”정말 그럴까요?최근 전세사기, 깡통전세 피해가 늘면서 임차인 스스로 내 보증금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그중에서 대표적으로 고민하는 두 가지,바로 확정일자와 전세권 설정입니다.이 두 가지는 전세보증금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은 같지만,법적 효력, 비용, 절차 등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오늘은 그 차이를 꼼꼼하게 비교해드릴게요.확정일자란? 간편하지만 제한이 있다확정일자는 주민센터나 동사무소에서 전세계약서에 날짜 도장을 받는 것입니다.등기소에 갈 필요도 없고, 절차도 간단하죠.하지만 중요한 건 우선순위입니다.만약 같은 집에 근저당, 압류, 전세권이 있다면확정일.. 2025. 5.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