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부동산

공공임대주택 이렇게 다릅니다|행복·국민·영구임대 한눈에 비교

by eumnic 2025. 4. 23.
728x90
반응형

 

집을 구하는 데 있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전세’나 ‘매매’지만,
현실적으로는 공공임대주택이 더 현실적인 대안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고령자에게는 국가가 제공하는 임대주택이 안정된 삶의 첫걸음이 될 수 있죠.

하지만 막상 알아보면 행복주택, 국민임대, 영구임대...
종류도 많고, 기준도 다 달라 헷갈리기 마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공공임대주택의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행복주택, 국민임대, 영구임대 비교표

구분행복주택국민임대영구임대
공급기관 LH, SH 등 LH, 지자체 LH, 지자체
대상자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 저소득 무주택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평균 100~130% 이하 평균 70% 이하 최저 생계 수준
자산 기준 완화 (3억~3.3억 이하) 중간 (3.3억 이하) 엄격 (2.9억 이하)
임대료 수준 시세 60~80% 시세 60~80% 시세 30% 이하
임대기간 최대 6~20년 최대 30년 무기한 갱신 가능
전환여부 분양전환 불가 일부 가능 불가
특징 신축, 청년 중심 중장년 서민용 복지대상자 전용

행복주택: 미래세대를 위한 사회주택

  • 신축 위주로 공급되며 교통, 교육, 복지 인프라 인접 지역 중심
  • 신청 대상: 청년(만 19~39세), 대학생, 신혼부부, 고령자, 주거급여 수급자 등
  • 청약통장 가입 필요
  • 주변 시세 대비 60~80% 수준의 임대료
  • 계층별로 최대 6~20년까지 거주 가능

사회초년생과 신혼부부에게 특히 유리한 선택지


국민임대: 전형적인 서민 임대주택

  • 행복주택보다 더 넓은 계층(중장년층 포함)에 공급
  • 대부분 아파트 형태이며, 일부는 장기 임대 가능
  • 공급 물량도 비교적 많고 전국 단위에서 찾기 쉬움
  • 입주 자격: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의 70% 이하, 총자산 3.3억 이하

중위소득 이하의 안정적인 주거가 필요한 이들에게 적합


영구임대: 마지막 안전망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국가유공자 등 취약계층 전용
  • 임대료가 매우 낮고, 임대기간 제한이 없음 (무기한 갱신 가능)
  • 대부분 오래된 단지이지만 임대료 부담은 거의 없음

생계 자체가 불안정한 분들에겐 필수적 선택


정리하며

세 가지 유형 모두 정부가 제공하는 주거복지의 핵심 도구입니다.
하지만 내 상황에 맞는 제도를 고르지 못하면, 오히려 기회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 청년·신혼부부라면? 행복주택
👉 중장년 무주택 서민이라면? 국민임대
👉 생활이 어려운 복지대상자라면? 영구임대

지금 이 순간에도 모집공고는 열리고 있습니다.
한 번쯤 확인해보세요. 집 걱정 없는 삶, 그렇게 시작될 수 있으니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