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고즈넉한

이재명 지원금, 현금화할 수 있을까? 몰래 쓰다 손해 볼 수도 있습니다

by eumnic 2025. 7. 23.
반응형

민생회복지원금 현금화

2025년 정부에서 지급하는 민생회복지원금, 흔히 '이재명 지원금'으로 불리는 소비쿠폰을 받으신 분들 많으시죠.
요즘 온라인 커뮤니티나 SNS에서 ‘이거 현금으로 바꿀 수 있다’, ‘선불카드 깡 가능’ 같은 말들이 도는 걸 보고 고민되신 적은 없으신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이 지원금은 원칙적으로 현금화가 불가능하며, 위법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도적 허용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이재명 지원금,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지급되나요?

  • 공식 명칭: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민생회복 소비쿠폰)
  • 지급 방식: 지역사랑상품권, 제로페이 연동 모바일상품권, 선불카드, 카드 충전금 등
  • 사용처 제한: 대형마트·백화점·유흥업소 등 제외, 소상공인 가맹점 중심

즉, 현금처럼 보이지만, 현금이 아니고 유통 범위가 제한된 소비 전용 포인트입니다.

 

 


 현금화 방법이란? 정말 가능한가요?

⛔ 먼저, 불법적인 ‘깡’은 명백히 금지

‘깡’이란?

지원금을 이용해 물품을 구입한 뒤 되팔아 현금화하거나, 가맹점과 결탁해 현금을 돌려받는 행위입니다.

  대표적인 예시:

  • 선불카드로 고가 물품(예: 생필품, 담배 등)을 구매 후 중고로 되팔기
  • 지인 가게에서 10만 원 결제하고, 9만 원 현금 돌려받기

이런 방식은 사기죄·보조금 부정수급에 해당할 수 있으며, 지자체 환수 + 형사처벌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적발 사례도 다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도 내에서 최대한 ‘유사 현금처럼’ 쓰는 방법은?

1. 생활비 대체 전략

지원금으로 생필품·식자재·교통·교육비 등 꼭 필요한 지출을 커버하고,
기존 생활비는 계좌에 그대로 남겨두는 방식으로 현금 유동성 확보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2. 자녀나 부모의 소비 대신 결제해주고 현금 받기

예를 들어 부모님이나 지인이 쓸 돈 대신 내가 지원금으로 결제하고, 현금을 대신 받는 방식은 실질적 유사 현금화에 가깝지만 사적 거래이므로 불법은 아닙니다.
단, 남용 시 오해를 살 수 있으니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3. 자주 가는 병원·약국에서 미리 결제

건강관리 비용을 미리 선결제해두는 것도 지원금을 가장 합리적으로 소진하면서 유동 자금 확보에 도움이 됩니다.


Q&A

Q1. 이재명 지원금은 상품권 교환소에서 바꿀 수 있나요?

A. 아니요. 지역사랑상품권은 지정된 가맹점 외에서는 현금으로 교환이 불가하며, 상품권 교환소 같은 곳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Q2. 선불카드를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쓸 수 있나요?

A. 대부분 지역 가맹점 한정으로, 쿠팡·G마켓·11번가 등 대형 온라인몰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Q3. 남은 금액을 현금으로 인출하거나 환불할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모든 민생회복지원금은 환불·현금 인출이 불가하며, 2025년 11월 30일 이후 미사용 금액은 자동 소멸됩니다.


 현금화 유혹, 쉽게 넘어가면 안 되는 이유

  •  형사처벌 위험: 가맹점과 공모한 부정 사용은 '보조금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음
  •  지자체 환수 조치: 적발 시 전체 금액 환수 및 향후 지원 대상 제외
  •  개인 정보 조회 및 추적 가능: 카드 결제 기록으로 부정 사용 적발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