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고즈넉한

보청기 정부지원 총정리 – 2025년 기준 신청조건부터 지원금까지

by eumnic 2025. 7. 9.
반응형

보청기 정부지원

"어르신, 뭐라고요?"
자꾸만 반복되는 이 말, 누군가에겐 소통의 벽이 되고, 외로움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우리 정부는 보청기 구입에 대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부담 때문에 망설였던 분들이라면 지금 이 제도를 꼭 확인해보세요.


보청기 정부지원, 누가 받을 수 있을까?

● 지원 대상 기준

  • 국민건강보험공단 등록 청각장애인
  • 반드시 장애등급을 받은 상태여야 함
  •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지원 가능

● 연령 조건

  • 나이에 제한은 없지만, 실제 신청자는 노년층(60대 이상)이 많음
  • 만 60세 이상 고령자는 장애 등록 시 우선 검토 대상이 될 수 있음

보청기 지원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기준, 건강보험 가입자 기준 최대 131만 원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단, 아래 항목을 충족해야 합니다.

항목금액 (최대 기준)
보청기 본인부담금 보조 약 131만 원
검사비·처방비 등 별도 본인 부담 발생 가능
 

신청 절차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1단계: 이비인후과 방문 및 청각장애 진단서 발급

병원에서 청력 검사를 받고, 청각장애 등록 진단서를 발급받습니다.

2단계: 주민센터에서 장애 등록 신청

진단서를 가지고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장애인 등록을 신청합니다.

3단계: 장애 등록 완료 후, 보청기 처방전 발급

등록이 완료되면 병원에서 보청기 처방전을 발급받습니다.

4단계: 보청기 구입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서류 제출

구입 후에는 해당 서류들을 건강보험공단에 제출하면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꼭 챙겨야 할 서류 리스트

  • 장애인 등록 진단서
  • 보청기 처방전
  • 보청기 구매 영수증 (세금계산서 포함)
  • 통장 사본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증 사본

Q&A로 정리하는 핵심 정보

Q1. 보청기 지원은 평생 한 번만 받을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5년에 한 번씩 재신청 가능합니다.

Q2. 장애등급을 받은 후가 아니면 지원을 못 받나요?
A. 네. 반드시 청각장애인으로 등록된 상태여야 보청기 지원 대상이 됩니다.

Q3. 병원은 아무 곳이나 가도 되나요?
A. 아니요. 지정 이비인후과 또는 재활의학과에서 검사와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귀가 멀면 마음도 멀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지원과 보청기 착용만으로도, 세상과의 연결은 다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정부가 마련한 이 따뜻한 제도를 통해, 우리 부모님 세대가 다시 소리를 찾고, 사람들과 웃으며 대화하는 날이 많아지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