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전 트램 정거장 총정리, 어디로 지나가고 어떻게 연결될까?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총 45개 정거장이 계획된 대전 트램은 단순히 교통을 넘어서 도시의 흐름을 새롭게 구성하는 중입니다.
특히 기존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 가능 구간은 시민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트램 정거장 위치, 환승 가능 역, 노선 구조 등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대전 트램 노선 구성 및 총 거리
- 총 길이: 38.8km
- 본선: 33.9km
- 지선: 4.9km (중리네거리
연축지구 3.9km, 관저네거리진잠네거리 1.0km)
- 총 정거장 수: 45개소
- 차량기지: 1개소(둔곡)
순환형 구조의 트램은 대전 5개 자치구를 두루 연결하며, 생활권을 끊김 없이 이어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호선과 환승 가능한 트램 정거장
트램은 기존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을 고려해 주요 거점에 정거장을 배치했습니다.
아래는 환승이 가능한 주요 정거장입니다.
- 서대전네거리역
- 대전역
- 대동역
- 정부청사역
- 유성온천역
각 정거장 인근에는 주요 상업지, 대학, 공공기관이 밀집해 있어 환승 시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트램 정거장 구조 설계 특징
- 상대식 승강장: 45개 정거장 중 41개소
(도로 양쪽에서 승·하차 가능) - 섬식 승강장: 3개소
(도로 중앙에 설치되어 상·하행선 공유) - 지하 정거장: 서대전역 1개소 (유일하게 지하 구조)
트램 승강장은 기존 버스 정류장과 유사한 구조이지만, 보다 안전한 보행자 동선을 고려해 설계되었습니다.
트램 노선이 연결되는 주요 지역
- 대전역
정부청사유성온천
도심 상업과 관공서 밀집지역을 연결하는 중심축 - 관저동~진잠
도안 신도시와 서남권 확장 지역을 수송 - 중리동
신탄진연축지구
북부 외곽 수요를 충족하는 지선 노선 - 복합터미널, 시청, 문화센터, 충남대, 한밭운동장 등
다양한 생활·문화·행정시설과도 밀접하게 연결
향후 일정 정리
일정내용
2025년 하반기 | 전 구간 공사 착공 완료 예정 |
2026년 하반기 | 트램 차량 납품 시작 |
2028년 말 | 전체 노선 개통 및 운영 시작 |
마무리하며
대전 트램은 1호선보다 더 넓고 촘촘하게 도심을 순환하면서 시민 생활에 밀접한 교통수단이 될 전망입니다.
정거장 간격도 약 850m로 도보 이동이 용이하게 설계되어 있어, 승용차를 두지 않아도 생활이 가능해지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교통 혼잡 완화는 물론이고, 지역 간 격차 해소, 부동산 가치 향상까지.
트램 한 줄이 만들어낼 변화는 생각보다 더 클지도 모릅니다.
728x90
반응형
'사회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금 감면·이자 인하까지? 새출발기금으로 살아난 사람들 (1) | 2025.05.14 |
---|---|
결만사 가입 시 내 점수는 몇 점일까? 나도 상위 등급일까? (1) | 2025.05.06 |
도시가 달라진다, 대전 트램 2호선 최신 공사 진행 상황 (0) | 2025.05.01 |
대전 중구 산성동·문화동 근처 SK 유심 무상교체 가능한 곳은 어딜까? (2) | 2025.05.01 |
대전 방동 도로 공사, 2025년 완공되면 바뀌는 것들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