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부동산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의 차이점, 한 번에 정리!

by eumnic 2025. 3. 24.
728x90
반응형

집을 알아볼 때 "다세대주택""다가구주택"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법적 기준과 실생활에서의 차이가 존재하는데요.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은 건물 형태는 비슷하지만, 법적 분류와 소유권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본인의 거주 목적이나 투자 방향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 둘의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다세대주택이란?

다세대주택은 여러 세대가 독립된 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는 주거 형태입니다. 공동주택의 한 유형으로, 주로 3층 이하(연면적 660㎡ 이하)의 건물에 여러 세대가 거주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각 세대는 독립된 등기를 할 수 있어 각각의 소유권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다세대주택의 주요 특징

  • 공동주택(아파트, 연립주택과 같은 범주)
  • 각 세대별 개별 등기 가능 → 개별 소유권 인정
  • 3층 이하, 연면적 660㎡ 이하의 건물
  • 보통 도시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음

 

2. 다가구주택이란?

다가구주택은 말 그대로 한 가구(1인 소유주)가 여러 세대에게 임대를 주는 형태입니다. 즉, 법적으로는 단독주택에 속하지만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입니다.

다가구주택의 주요 특징

  • 단독주택으로 분류 (건축법상 공동주택 아님)
  • 소유자가 한 명 → 개별 세대별로 소유권이 없음 (매매 시 건물 전체 단위로 거래)
  • 3층 이하, 연면적 660㎡ 이하 (다세대주택과 동일한 기준 적용)
  • 보통 건물주가 세입자에게 임대하는 경우가 많음

 

 

 

3. 다세대 vs. 다가구, 어떤 차이가 있을까?

구분다세대주택다가구주택

법적 분류 공동주택 단독주택
소유권 개별 등기 가능 한 명의 소유주
매매 방식 세대별 개별 매매 가능 전체 건물 단위로 매매
거주 형태 각 세대 독립적 거주 임대 목적이 많음
주차 기준 공동주택 기준 적용 단독주택 기준 적용

 

4. 어떤 경우에 다세대 또는 다가구를 선택해야 할까?

▶ 투자 및 매매를 고려한다면?

  • 개별 세대별로 매매가 가능한 다세대주택이 유리합니다.
  • 다가구주택은 전체 건물 단위로 거래되기 때문에 큰 자본이 필요합니다.

▶ 임대 수익을 고려한다면?

  • 다가구주택은 건물주가 전체 세대를 관리하며 임대료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유리합니다.
  • 다세대주택은 개별 소유주들이 존재하므로 관리가 비교적 어렵습니다.

 

 

 

 

728x90
반응형